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모셔진 통도사, 그 길을 걷다.

by 곤네르방 2025. 2. 1.
반응형

 신라의 숨결이 깃든 사찰, 통도사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는 경상남도 양산에 자리한 한국 3대 사찰 중 하나로, 불보(佛寶) 사찰로 유명하다.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모셔져 있어 따로 불상을 두지 않은 대웅전이 특징이며, 신라 선덕여왕 시기에 창건된 유서 깊은 사찰이다. 사계절마다 색다른 풍경을 선사하는 이곳은 불교 신자는 물론, 여행객들에게도 깊은 울림을 주는 성지와 같은 장소다.

반응형

통도사의 주요 명소

1. 통도사의 유래와 창건 배경

통도사는 신라 선덕여왕 15년(646년)에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가져온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창건한 사찰이다. ‘통도(通度)’라는 이름은 ‘깨달음을 이루어 열반에 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후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치며 계속해서 중창과 보수를 거듭하여 현재의 웅장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2. 일주문과 천왕문을 지나 성보박물관까지

통도사의 첫 관문인 일주문을 지나면, 사찰의 신성한 영역으로 들어서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천왕문을 통과하며 사천왕들의 위엄을 지나치고 나면, 성보박물관이 자리 잡고 있다. 이곳에는 다양한 불교 유물과 국보급 성보가 전시되어 있어 통도사의 역사와 가치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다.

반응형

3. 불상을 모시지 않은 대웅전과 금강계단

대웅전은 일반적인 사찰과는 달리 내부에 불상을 모시지 않은 독특한 구조다. 이는 바로 대웅전 뒤편 금강계단에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안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신라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가져온 사리가 모셔져 있어, 불교 신자들에게는 성스러운 참배의 공간으로 여겨진다.

4. 한국 불교 3대 사찰 중 ‘불보(佛寶) 사찰’

통도사는 해인사의 ‘법보(法寶)’, 송광사의 ‘승보(僧寶)’와 함께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3대 사찰 중 하나로, ‘불보 사찰’에 해당한다. 이는 곧 통도사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직접 모신 사찰이라는 의미로, 신앙적 가치가 더욱 크다.

반응형

5.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2018년, 통도사는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이는 한국의 전통 불교사찰이 단순한 예배 공간을 넘어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유지되어 온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은 결과이다.

6. 산책길을 따라 걷는 서운암과 암자들

통도사 주변에는 아름다운 산책길과 함께 서운암, 극락암 등의 암자들이 자리하고 있다. 특히 서운암은 연꽃이 가득한 연못과 조용한 명상의 공간으로 유명하며, 봄이면 벚꽃이 만개해 아름다운 풍경을 자아낸다. 걷다 보면 자연과 하나 되는 기분을 느낄 수 있다.

7. 통도사의 특별한 불교 의식

통도사에서는 매년 부처님오신날이 되면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에서 장엄한 법요식이 열린다. 또한, 매년 열리는 ‘영산재(靈山齋)’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불교의례로, 한국 전통 불교문화의 정수를 경험할 수 있는 중요한 행사 중 하나다.

반응형

 마음을 비우고 채우는 여행, 통도사

통도사는 그 자체로 역사와 신앙, 그리고 자연이 어우러진 곳이다. 단순한 관광지가 아니라, 부처님의 흔적을 따라 걸으며 마음을 정화할 수 있는 공간이다. 한 걸음 한 걸음 내딛을 때마다 불교의 깊은 철학과 자연의 조화로움을 느낄 수 있는 곳, 통도사. 이곳에서 잠시 일상을 내려놓고, 마음을 가다듬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Tongdosa Temple, where the Buddha's jinsinsari is enshrined, walks along the path.

Tongdosa Temple, a temple with the breath of Silla

Tongdosa Temple, the headquarters of the 15th diocese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is one of Korea's three major temples located in Yangsan,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is famous for its Bulbo temple. As the Buddha's Jinshsari is enshrined, it features Daeungjeon Hall, which does not have a Buddha statue, and it is a historic temple built during the reign of Queen Seondeok of Silla. Offering unique scenery in each of the four seasons, it is a sacred place that resonates deeply not only with Buddhists but also with travelers.

the main attraction of Tongdosa Temple
1. Origins and Foundation Background of Tongdosa Temple

Tongdosa Temple is a temple built by Jajang-ryulsa in the 15th year of Queen Seondeok of the Silla (646), to enshrine the Buddha's jinshsari brought from the Tang Dynasty. The name Tongdosa (度) means "to achieve enlightenment and fall into nirvana." Since then, throughout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it has continued to be reconstructed and repaired to take on its present grand appearance.

2. Through Iljumun, Cheonwangmun, to the Seongbo Museum

After passing Iljumun, the first gateway to Tongdosa Temple, you feel as if you are entering the sacred area of the temple. After passing through the Cheonwangmun Gate and passing through the dignity of the Four Heavenly Kings, the Seongbo Museum is located. Various Buddhist relics and national treasure-level holy books are displayed here, giving you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and value of Tongdosa Temple.

3. Daeungjeon Hall and Geumgang Staircase without Buddha statues

Daeungjeon Hall, unlike ordinary temples, has a unique structure that does not contain Buddha statues inside. This is because the Buddha's Jinshsari is placed on the Diamond Stairway behind Daeungjeon Hall. It is considered a sacred place for worship by Buddhists as it houses a sarira brought from the Tang Dynasty by Silla Jajumyulsa.

4. Among the three major Korean Buddhist temples, the 'Bulbo temple'
Tongdosa Temple is one of the three major temples representing Korean Buddhism along with Haeinsa Temple's Beopbo and 僧 Temple's Seungbo, which corresponds to the Bulbo Temple. This means that Tongdosa Temple is a temple that directly houses the Buddha's jinsinsari, which has greater religious value.

5. UNESCO World Heritage List

In 2018, Tongdosa Temple was list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under the name of 'Sansa, Korea's Mountain Temple'. This is the result of recognizing the cultural value that traditional Korean Buddhist temples have maintained in harmony with nature beyond simple worship spaces.

6. Seounam and hermitages walking along the trail

Along with beautiful walking paths, there are hermitages such as Sewoonam and Geungnakam around Tongdosa Temple. Sewoonam is especially famous for a pond full of lotus flowers and a space for quiet meditation, and in spring, cherry blossoms are in full bloom, creating beautiful scenery. When you walk, you can feel the feeling of being one with nature.

7. a special Buddhist ritual in Tongdosa

Every year at Tongdosa Temple, on Buddha's Birthday, a majestic Dharma ceremony is held on the Geumgang Staircase where Buddha's Jinssari is enshrined. In addition, the annual 靈 is a Buddhist ritual designa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nd is one of the important events where you can experience the essence of Korean traditional Buddhist culture.

 A trip that empties and fills the mind. A master

Tongdosa Temple is a place where history, faith, and nature are harmonized. It is not just a tourist destination, but a space where you can purify your mind by walking along the Buddha's traces. Tongdosa Temple, a place where you can feel the harmony of Buddhism's deep philosophy and nature with each step you take. Why don't you take a moment to put down your daily life and get your mind together?

반응형